https://blog.naver.com/sweet00700/220318123013
열관류율, 열전도율, 열저항
건축용어에 자주 쓰이는 열관류율과 열전도율 그리고 열저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어렵게 생각하...
blog.naver.com
열전도율을 이용한 단열재 두께 계산 방법 및 벽체의 열관류율 계산
지역별로 건축물의 최소 단열재 두께는 정해져 있습니다. 다양한 재료의 단열재가 제품으로 나오고 있어 열전도율을 이용한 단열재 두께 계산 방법 및 벽체의 열관류율 계산 방법을 알아두면
town-architect.tistory.com
건축물의에너지절약설계기준
www.law.go.kr
(별표1 :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)
https://www.phiko.kr/bbs/board.php?bo_table=z3_01&wr_id=2
2-01. 열전도율, 열관류율, 열저항에 관하여
2022.02.03 : 기포콘크리트 비열 추가 2013.07.31 : 표면열전달저항에 관한 링크 추가 2013.05.20 : 지역별 열관류율 규정표를 별도 링크로 처리 (업데이트 용이성) 2012.01.06 : 열전도율의 재료 추가와 투습
www.phiko.kr
https://www.phiko.kr/u_calc/phiko_u_calc.php
열관류율 계산 - 한국패시브건축협회
1) 중부1지역 : 강원도(고성, 속초, 양양, 강릉, 동해, 삼척 제외), 경기도(연천, 포천, 가평, 남양주, 의정부, 양주, 동두천, 파주), 충청북도(제천), 경상북도(봉화, 청송) 2) 중부2지역 : 서울특별시,
www.phiko.kr
http://www.elimcc.co.kr/ab-1261835-154&tpa_index192=60
열관류율 계산시 적용되는 실내 및 실외측 표면 열전달저항 : 엘림케미칼 > 고객지원 > 공지사항
국가법령정보센터에 보면 건축물의에너지절약설계기준 [제2017-71호, 국토교통부고시, 2017.1.19.] 에 명시되어 있습니다. 열관류율 계산시 외기에 직접/간접 면하는경우, 거실의외벽,바닥,지붕,공
www.elimcc.co.kr